Search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FILE_000000000004343

 

 

 

[이미지 출처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근로자가 자녀늘 양육하기 위하여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을 단축하여 근무하는 제도입니다.휴직을 사용하지 않고 근무를 지속하기 때문데 근로자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귄리 시리즈 제5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 발간!

FILE_000000000005660

 

2012년 4월 개소 이후부터 2014년 9월까지 진행한 상담 3,893건의 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을 펴냈습니다.

사례집은 직장맘 3고충 종합상담 사례 분석, 상담 유형별 대표적 상담사례 130명분 정리(상담 개요, 상담 경과, 상담 결과, 상담 포인트로 각 개별 사례 정리),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종합안내,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대처방법 ABC,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 개선안 중 꼭 실현되어야 할 중점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사례집 원문 파일은 본 일반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한편, 본 사례집은 2014년말에 발간되었으므로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개정법률의 내용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이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례집 내용 중 일부 수정사항이 있습니다.

직장맘 분들과 해당 기관에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_()_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수정사항

1. 287페이지

표의 “육아휴직” 부분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

(200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삭제)

2. 318페이지

서부여성발전센터 : seobu.seoulwomen.or.kr

강서여성인력개발센터 : www.hrbks.or.kr

3. 320페이지

청년창업플러스센터 : 070-4880-3000

사례집 다운받기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1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2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3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6 (가족돌봄휴직)

FILE_000000000004340

 

[이미지 출처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가족돌봄휴직 제도란?

 

가족(부모, 자녀,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이 질병, 사고, 노령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휴직 제도로,

일시적인 가족돌봄 부담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귄리 시리즈 제6탄, 가족돌봄휴직 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 발간

– 직장맘 3고충(직장, 가족관계, 개인) 해소를 위한 주요 질의응답 100가지에 센터 상담사례 및 Q&A를 곁들여 이해하기 쉽게 수록

– 노동권 확보, 모성보호 일가족양립, 보육 등 연계정보, 심리정서 등 기타 총 4개분야로 구성

–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 무료 배포, 센터 홈페이지 일반자료실에서 다운로드 가능

 

직장맘 핸드북(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이 7월 29일(수) 발간되었습니다.

원문 파일은 본 일반자료실의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책자로 발간된 핸드북은 이메일(workingmom@hanmail.net)로 신청하시면

우편배송료 착불 부담 시 선착순으로 발송해 드립니다.

필요하신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주요내용>

1. 직장 내 고충 ? 노동권 확보(35문 35답)

2. 직장 내 고충 ? 모성보호, 일가족양립(45문 45답)

3. 가족관계에서의 고충 ? 보육 등 연계정보 제공(15문 15답)

4. 개인적 고충 ? 심리정서, 일자리 경력개발 등 연계정보 제공(5문 5답)

5. 부록 ? 노동권, 모성보호, 보육 관련 서식 등 22가지, 노동상담의 방법,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대처방법 ABC 등

 

제가 다니는 회사도 우선지원대상기업인가요?

우선지원대상기업의 기준은 산업별로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수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고용보험법 제19조, 동법 시행령 제12조)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기준

 

 

 

 

 

 

산업분류

 

 

분류기호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

 

 

1. 제조업

 

 

C

 

 

500명 이하

 

 

2. 광업

 

3. 건설업

 

4. 운수업

 

5.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6.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B

 

F

 

H

 

J

 

N

 

M

 

Q

 

 

300명 이하

 

 

9. 도매 및 소매업

 

10. 숙박 및 음식점업

 

11. 금융 및 보험업

 

12. 예술, 스포스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G

 

I

 

K

 

R

 

 

200명 이하

 

 

13. 그 밖의 업종

 

 

 

100명 이하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 12조에서는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수가 우선지원대상기업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라도, 아래의 기준에 의하여 중소기업,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협동조합연합회에 해당하는 경우도 우선지원대상기업에 해당합니다.

 

 

 

 

1. 「 중소기업기본법 」  제2조제1항에 따른 중소기업 중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소기업일 것

 

2.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사회적기업 중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회적기업

 

3. 「협동조합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협동조합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협동조합

 

4. 「협동조합 기본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협동조합연합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협동조합연합회

 

 

 

 

 

 

단, 자산 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에 속하는 회사로 통지된 회사는 그 통지를 받은 날이 속하는 보험연도의 다음연도부터 우선지원 대상기업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선지원대상기업 조회확인방법은 고용보험 홈페이지 화면에서 본인 주민등록번호 조회 후 → 기업서비스 → 고용안정지원금 신청서 중 하나 클릭 →  “대규모기업여부” 항목이 표시부분에 해당/비해당 확인 가능. 대규모기업에 표시되어 있으면 우선지원대상 기업이 아닙니다. (현재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는 기업서비스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근로자 개인이 확인할 수 없습니다.)

 

 

출산전후휴가 확인서 파헤치기

제 이름은 임시내입니다. 

 

2013년 7월 1일 ㈜직장맘코퍼레이션에 입사했고 백화점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계약직 근로자입니다. 

일 8시간, 5일씩 주 40시간을 근무를 했고, 임금은 기본급 135만원에 연장수당은 별도로 받았습니다.

2014년 5월 5일에 출산할 예정입니다.비정규직도 출산전후휴가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던데,,,

 

출산전후휴가 확인서 작성법을 알려주세요!

 

 

 

FILE_000000000004333

FILE_000000000004334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인서 파헤치기

임시내 직장맘입니다.

 

출산휴가를 사용하고, 육아휴직도 사용하고 싶은데  회사에서는 근무기간이1년이 안된다고 못 준다고 하네요.

그래서 1년 넘게 근무한 남편보고 먼저 육아휴직 신청하라고 했어요.

 

남편의 이름은 육아인, 정규직이구요, 주 40시간 사업장인 (주)스타워즈에서 근무합니다.

7월 1일 부터 육아휴직을 시작한다고 하면,

 

육아휴직 확인서는 어떻게 작성하는 거죠?

 

FILE_00000000000432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인서 작성방법도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방법과 유사하나, 아래의 사항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FILE_000000000004327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7 (2014 하반기 시행 – 개정 노동법률)


FILE_000000000004322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2014년 하반기 시행(개정) 노동법률

 

 

1. 다태아 출산전후휴가 120일

 

* 출산전후휴가, 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120일로 확대

 

→ ?올 7월 1일부터 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여성 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가

기존 90일에서 1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2. 임신근로자 하루 2시간 근로시간 단축

 

*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는 하루 2시간의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 가능

 

→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도도 곧 시행됩니다.

앞으로 임신 12주 이내, 임신 36주 이후의 근로자는 하루 2시간의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7탄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