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센터양식] 출산전후휴가 신청서 양식 (25. 2. 23. 개정법 반영)

  출산전후휴가 (근로기준법 제74조 제1항)  (25. 2. 23. 개정법 반영)
대상 임신한 근로자
사용기간 단태아 90일, 다태아 120일 (*미숙아 출산시 10일의 추가휴가 부여**) (출산 후 단태아 45일, 다태아 60일 이상)
*미숙아:  임신 37주 미만의 출생아 또는 출생 시 체중이 2천500그램 미만인 영유아로서, 특별한 의료적 관리를 위해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유아 (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12조의2) **미숙아의 출산으로 10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부여받으려는 경우에는 출산전후휴가의 종료예정일(9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사용 중인 여성 근로자가 미숙아의 출산으로 휴가기간을 100일로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사용 중인 출산전후휴가의 종료예정일을 말한다) 7일 전까지 미숙아의 출산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사업주에게 제출해야 한다.  

[센터양식]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서 양식 (25. 2. 23. 개정법 반영)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근로기준법 제74조 제7항)
대상  임신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인 근로자 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산, 조산 등 위험이 있는 여성 근로자의 경우 임신 전 기간 사용가능
단축시간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
신청방법  단축개시예정일의 3일전까지 신청
[별표 3] 유산¸ 조산 등 위험이 있는 여성 근로자의 질환(제12조의3 관련)(근로기준법 시행규칙)   (25. 2. 23. 개정 사항 반영)

[센터양식] 난임치료휴가 신청서 양식 (25. 2. 23. 개정법 반영)

  난임치료휴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8조의3)
대상 남녀근로자
휴가기간 연간 6일 (최초 2일 유급) 최초 2일 유급기간에 대한 난임치료휴가 급여 신설 (25. 2. 23.)
신청방법 사업주에게 신청( 난임치료휴가를 사용하려는 날에 신청하여도 무방)
♦ 참고: 사업주는 난임치료휴가의 청구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알게 된 사실을 난임치료휴가를 신청한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여서는 아니됩니다.

[센터양식] 배우자 출산휴가 고지서 양식 (25. 2. 23. 개정법 반영)

  배우자 출산휴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8조의2)
대상  남성 근로자
휴가기간 20일 (전 기간 유급) 및 3회 분할 사용 가능 20일 전 기간에 대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수급 가능 (25. 2. 23.) 배우자 출산일로부터 120일 도과 전 전부 사용
사용방법 사용자에게 고지(♦신청하여 승인받는 것이 아니라 사용을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알리는 행위로 사용자 승인이 불필요)
   

[고용보험] 출산전후휴가 급여등(출산전후휴가, 유산ㆍ사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난임치료휴가) 신청서 (25. 2. 21. 개정)

 
신청기간 〮 휴가 시작 1개월 이후부터 신청가능 〮 휴가 종료 후 1년 이내에 신청
필요서류 〮 출산전후휴가 급여 신청서 1부 〮 출산전후휴가 확인서 1부 〮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임금대장 등) 사본 1부 〮 휴가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 (유사산휴가) 유산 또는 사산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진단서 (임신기간이 적혀 있어야 함) 1부
신청절차 〮 거주지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에 제출 〮 고용보험 홈페이지 신청가능
 

[고용보험] 육아휴직 및 육아기근로시간단축 급여 신청서 (25. 2. 21. 개정)

(25. 2. 21. 개정)
 
신청기간 〮 휴직 시작 1개월 이후부터 신청가능 〮 휴직 종료 후 1년 이내에 신청가능
필요서류 〮(육아휴직, 육아기근로시간단축) 급여 신청서 1부 〮(육아휴직, 육아기근로시간단축) 사업주 확인서 1부 〮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임금대장 등) 사본 1부 〮 휴직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신청절차 〮 거주지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에 제출 고용보험 홈페이지 신청가능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 사례집 Ver.4

FILE_000000000004323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상담사례를 정리하여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 사례집4」를 제작
하였습니다.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 사례집 4」는 총 4,930건의 상담사례를 분석하여
직장맘 3고충(직장, 가족관계, 개인) 유형별 고충 실태를 살펴볼 수 있게 정리하였고,

전 분야 총 92명의 대표적 상담사례를 선정하여
상담 개요, 상담 경과, 상담 결과, 상담 포인트로
본 센터가 어떻게 지원하였는지 알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예전에 발간된 상담사례집 1, 2, 3 PDF 파일도
센터 홈페이지 → 센터소식  → 자료실에서 계속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맘 핸드북 제4판] 직장맘이 궁금한 50문 50답

FILE_000000000004324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입니다.

직장맘 핸드북 제4판 [직장맘이 궁금한 50문 50답] 이 발간되었습니다!
첨부된 PDF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인쇄본은 착불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책자가 필요하신 분은 센터(02-335-0101)로 연락바랍니다.

직장맘, 직장대디분들의 많은 활용 바랍니다.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