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 사례집 Ver.2

 

FILE_000000000004335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 사례집] 두 번째 발간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는 첫 번째 종합상담 사례집 발간 1년만에 두 번째 종합상담 사례집을 제작하여 서울시 직장맘들이 겪고 있는 고충의 실태본 센터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밀착상담, 지원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 센터는「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1」을 2012년 4월 센터 개소 이후부터 2014년 9월까지 2년 6개월간의 상담사례를 담아 발간한 바 있고, 이후 1년만에 2014년 10월부터 2015년 9월까지의 새로운 상담사례를 정리하여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2」를 제작하였습니다.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2」는 총 2,529건의 상담사례를 분석하여 직장맘 3고충(직장, 가족관계, 개인) 유형별 고충 실태를 살펴볼 수 있게 정리하였고, 총 55명의 대표적 상담사례를 선정하여 상담 개요, 상담 경과, 상담 결과, 상담 포인트로 본 센터가 어떻게 지원하였는지 알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2」는 이메일(workingmom@hanmail.net)로 신청하면 선착순으로 2016년 1월 중 착불로 받아볼 수 있으며, 상담사례집 1(자료실 66번)과 2의 PDF 형식의 원문 파일은 센터 홈페이지 → 다운로드 자료실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2015 직장부모커뮤니티 활동보고서 ‘직장맘 날아오르다’

2015년 직장부모커뮤니티 소책자 – 2015 직장부모커뮤니티 활동보고서 ‘직장맘 날아오르다’가 2015년 12월 발간되었습니다.
원문 파일은 본 일반자료실의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주요내용>
– 직장부모 커뮤니티란?
–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 직장부모커뮤니티를 지원합니다.
– 2015 직장맘지원센터 직장부모커뮤니티 활동
(2015년)
강서직장부모커뮤니티 : 따사모
구로직장부모커뮤니티 : 더불어 함께
동작직장부모커뮤니티 : 워킹맘인문학소모임디자이너
마포직장부모커뮤니티 : 은여우(은근히 여린 우리)
서초직장부모커뮤니티 : 부모인문학공부모임
용산직장부모커뮤니티 : 용산 직장맘
종로직장부모커뮤니티 : 북촌 도담도담
중구직장부모커뮤니티 : 남산새옴다옴 직장 빠n맘
(2014년)
강서양천직장부모커뮤니티 : 맘만세
용산직장부모커뮤니티 : 도원생태놀이맘

– 커뮤니티 대표자 소감
– 직장부모커뮤니티에 도움 주신 분들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 제안-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13

안녕하세요?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입니다.

이번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는 본 센터의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개선안” 도출 및 법안 발의 과정 설명, 관련 자료 첨부 등으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해당 제도개선안은 2013년 11월 1일, 서울시 경력단절예방지원단 25인(노무사 10인, 변호사 10인, 심리정서 전문가 5인) 구성(서울시장 위촉) 후 제도개선위원회 위원 8인(노무사 5인, 변호사 3인)과 센터 3인(센터장, 상근 노무사 2인)의 2년간의 노력 끝에 최종 정리되었고, 제1안의 경우 법안발의(2015년 10월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하나 의원 등 국회의원 20여명 법안발의 / 2015년 10월 28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의 결실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제도개선안 4가지는 2014년 7월 2일,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상담사례를 통해 본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의 현황과 실효성 확보방안>이라는 주제의 직장맘 경력유지를 위한 토론회 개최를 통해 제안된 제도개선안 중 중점과제 4가지를 채택하여 추가 연구 및 정리 작업 진행 후 2015년 4월,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 제안>을 발간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제안되었고, 이후 장하나 국회의원과 함께 4가지 제도개선안 중 제1안(근로기준법, 고평법 개정안)의 내용을 다듬고 수정하여 최종안을 도출하였으며, 해당 최종안을 삽입하고, 센터 상담통계 및 2015년 7월 법 시행내용을 보완하여 2015년 10월,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 제안>을 다시 한 번 발간함으로써 완성되었습니다.

본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는 2012년 4월 개소 후 지난 3년 반 동안 직장맘들의 고충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해왔고, 특히 전체상담(6,422건)의 68%(4,379건)인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을 둘러싼 상담을 토대로 제도개선안을 도출하여 실제 제도개선에 매진해온 결과, “제1안에 대한 법안발의”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모쪼록 해당 법률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눈동자같이 지켜봐주시기를 부탁드리며, 본 센터도 지금까지처럼 최선을 다해 직장맘들의 고단한 삶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직장맘들의 고충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 발간!

FILE_000000000005660

 

2012년 4월 개소 이후부터 2014년 9월까지 진행한 상담 3,893건의 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을 펴냈습니다.

사례집은 직장맘 3고충 종합상담 사례 분석, 상담 유형별 대표적 상담사례 130명분 정리(상담 개요, 상담 경과, 상담 결과, 상담 포인트로 각 개별 사례 정리),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종합안내,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대처방법 ABC,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제도 개선안 중 꼭 실현되어야 할 중점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사례집 원문 파일은 본 일반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한편, 본 사례집은 2014년말에 발간되었으므로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개정법률의 내용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이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례집 내용 중 일부 수정사항이 있습니다.

직장맘 분들과 해당 기관에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_()_

<서울시 직장맘 종합상담사례집> 수정사항

1. 287페이지

표의 “육아휴직” 부분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

(200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삭제)

2. 318페이지

서부여성발전센터 : seobu.seoulwomen.or.kr

강서여성인력개발센터 : www.hrbks.or.kr

3. 320페이지

청년창업플러스센터 : 070-4880-3000

사례집 다운받기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1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2

서울시-직장맘-종합상담사례집-3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인서 파헤치기

임시내 직장맘입니다.

 

출산휴가를 사용하고, 육아휴직도 사용하고 싶은데  회사에서는 근무기간이1년이 안된다고 못 준다고 하네요.

그래서 1년 넘게 근무한 남편보고 먼저 육아휴직 신청하라고 했어요.

 

남편의 이름은 육아인, 정규직이구요, 주 40시간 사업장인 (주)스타워즈에서 근무합니다.

7월 1일 부터 육아휴직을 시작한다고 하면,

 

육아휴직 확인서는 어떻게 작성하는 거죠?

 

FILE_00000000000432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인서 작성방법도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방법과 유사하나, 아래의 사항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FILE_000000000004327

 

 

 

 

〈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 발간

– 직장맘 3고충(직장, 가족관계, 개인) 해소를 위한 주요 질의응답 100가지에 센터 상담사례 및 Q&A를 곁들여 이해하기 쉽게 수록

– 노동권 확보, 모성보호 일가족양립, 보육 등 연계정보, 심리정서 등 기타 총 4개분야로 구성

–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 무료 배포, 센터 홈페이지 일반자료실에서 다운로드 가능

 

직장맘 핸드북(직장맘이 궁금한 100문 100답) 개정판이 7월 29일(수) 발간되었습니다.

원문 파일은 본 일반자료실의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책자로 발간된 핸드북은 이메일(workingmom@hanmail.net)로 신청하시면

우편배송료 착불 부담 시 선착순으로 발송해 드립니다.

필요하신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주요내용>

1. 직장 내 고충 ? 노동권 확보(35문 35답)

2. 직장 내 고충 ? 모성보호, 일가족양립(45문 45답)

3. 가족관계에서의 고충 ? 보육 등 연계정보 제공(15문 15답)

4. 개인적 고충 ? 심리정서, 일자리 경력개발 등 연계정보 제공(5문 5답)

5. 부록 ? 노동권, 모성보호, 보육 관련 서식 등 22가지, 노동상담의 방법, 직장맘 3고충 해결을 위한 대처방법 ABC 등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7 (2014 하반기 시행 – 개정 노동법률)


FILE_000000000004322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2014년 하반기 시행(개정) 노동법률

 

 

1. 다태아 출산전후휴가 120일

 

* 출산전후휴가, 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120일로 확대

 

→ ?올 7월 1일부터 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여성 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가

기존 90일에서 1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2. 임신근로자 하루 2시간 근로시간 단축

 

*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는 하루 2시간의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 가능

 

→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도도 곧 시행됩니다.

앞으로 임신 12주 이내, 임신 36주 이후의 근로자는 하루 2시간의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7탄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8 (2014 10.01 시행제도 3가지)파일 첨부됨

FILE_00000000000432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상향, 비정규직 육아휴직 중 재고용 지원도 확대>

 

이번 달 10월 1일부터

 

① 아빠의 달 육아휴직 급여(1개월 통상임금 100%, 최대 150만원),

 

②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상향(통상임금 40% → 60%),

 

③ 비정규직 육아휴직 중 재고용 지원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번 제도 개선은 시행은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14.9.30)에 따른 것으로, 지난 2월4일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합동 ?일하는 여성을 위한 생애주기별 경력유지 지원방안?에서 발표된 내용입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세요.)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