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직장맘 마음의 신호를 읽자! 온라인 직장맘건강권 설문결과

FILE_000000000001454 

 

직장맘, 마음의 신호를 읽자!
온라인 직장맘건강권 설문조사
-심리적 스트레스 자가체크리스트 결과-

 

조사기간 3월 25일 – 4월 15일 
검사지 PWI-SF설문 (설문은 몸과 마음의 스트레스 상태를 전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좋은 방법으로 27점이상은 스트레스관리 방법들을 잘 숙지해 꾸준히 실천한후 3개월 후 재평가를 권장합니다.)

 

조사는 3.25-4.15 코로나19 바이러스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고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등 실시될 때 진행하였습니다. 변화된 일상생활로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어느정도인지 간편하게나마 <자가진단>을 해봄으로써 지혜롭게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직장맘의 사회적 어려움 극복에 도움이 되는 정보제공, 캠페인, 건강관리체험부스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할수있는 건강권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FILE_000000000001456

 

전체 참여자 308명 중
여성 247명(80%), 남성 61명(20%)이었으며, 연령은 20대 31명, 30대 124명, 40대 85명, 50대 62명, 60대 5명, 70대이상 1명

 

스트레스 점수에 의한 평가지표 분포를 보면
전체 308명중 스트레스 건강군 26명(1-8점, 8.4%), 잠재군 167명(9-26점, 54.2%), 고위험 115명(27-54점, 37.3%)의 분포를 보였습니다.
전체 308명중 스트레스를 경험하지않는 스트레스 건강군은 26명, 8.4% 였으며, 고위험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응답자가 115명, 38%에 가까워 비중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FILE_000000000001458

 

특히 여성 응답자 전체 247명(80%) 중 고위험군이 112명(45%)으로 절반에 가까웠습니다. 이중 20-40대(196명)의 여성만을 따로 보면, 고위험군이 101명(52%)으로 고위험군이 이 연령대에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더 많은 관심과 보다 상세한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체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면 스트레스 고위험군은 115명(37.3%)으로 일상생활 및 신체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는 상태에 있고, 현재 스트레를 많이 경험하지는 않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고위험군이 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군이 167명(54.2%)에 이릅니다. 수치로 미루어보면 대부분이 스트레스를 어느정도는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집니다.

 

문항 중 자신에 대한 신뢰감, 행복감 측면에서 부정적 응답이 88명(28.6%), 97명(31.5%)으로 낮지 않으며, 삶을 살아갈만한 가치가 있다는 답에 ‘전혀 그렇지않다’에 14명(4.5%) ‘그렇지 않다’ 46명(14.9%)이 답했습니다.

 

조사결과를 통해 급격히 변화된 일상생활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여성들이 받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아보이는 우려가 있었습니다(직무스트레스 연구에서 여성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이에 사회적 관심과 지원, 몸과 마음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관리 방법들을 알리고 고위험에 속한 경우 적극적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보이지만, ‘삶을 살아갈만한 가치’를 느끼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더욱 깊은 관심이 필요함을 생각하게 됩니다.

 

– 이 글은 홈페이지등에 접속하여 설문을 작성 제출해주신 308명의 자료에 대한 수치이며, 근로자건강센터 서울성동분소의 자문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엄경애 기획협력팀

 

 

 

 

2020 상반기 운영위원회의 개최

FILE_000000000001460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2020년 상반기 운영위원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5월 20일 오후 2시, 동부여성발전센터 2층 오렌지움에서는 김지희센터장을 비롯 위원(구은경 여성이 만드는 일과미래 상임이사, 김성호 성구근로자복지센터 사무국장, 윤혜경 광진마을자치센터장, 장이정수 여성환경연대 공동대표, 정우철 법인이사, 최자은 서울여성가족재단 일생활균형지원센터장, 이광재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여성정책담당관 성평등노동팀 팀장 등)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안건 심의에 앞서 새롭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된 최자은 서울시일생활균형지원센터장의 위촉식도 진행되었습니다.

 

김지희센터장의 전차회의보고, 취업규칙 변경 사항을 보고하였고 안건으로 2020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심의를 하였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고충을 겪고 있는 직장맘들을 위한 온라인 사업 등 시의적절한 사업과 고용불안과 고충증가에 따른 대안 마련과 적극적 연계 등 다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김경희 기획협력팀장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생활방역 물품지원 디자인바이스퀘어 방문

FILE_000000000001462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생활방역으로 전환하여 일상적 생활수칙을 더 잘 지켜야 하는 시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서울시가 지원한 방역물품을 동부비정규노동센터와 함께 중소영세제조업, 여성비정규직 등 어려운 사업장과 노동자들에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는 지난 5월18일 생활의류업체 <디자인바이스퀘어>를 방문하여 마스크를 포함하여 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전달하였습니다.

 

이 업체와는 노동법률교육을 진행하면서 센터와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큰 물품은 아니지만 방역물품에 담은 직장맘에 대한 응원을 기쁘게 받아주셨습니다.

 

근로기준법, 출산휴가 등의 모성보호법을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신청해주세요. 강의내용과 일정을 의논하여 방문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의 법률지원팀 02-335-0101

 

일하는 여성의 노동환경개선을 위하여-전태일재단과 업무협약 체결

 

FILE_000000000001467

서울시동부권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는 5월18일, 전태일재단(이사장 이수호)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치며 산화하신 전태일노동자의 뜻을 이어받아 활동하고 있는 전태일재단은 올해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촉구를 위한 ‘전태일 50주기 캠페인’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센터와 전태일재단은 전태일 정신에 따라 노동자들의 권익보호를 위한 협력과 노동교육, 노동인권캠페인 등 사업 연계와 상호사업추진을 위해 필요한 협력 및 지원 등을 약속했습니다.

FILE_000000000001469

이날 센터는 전태일재단으로부터 아주 의미있는 선물을 받았습니다. 전태일50주기를 맞아 그 의미를 되새기고자 임옥상 화가가 자작나무에 새긴 그림과 글인데요, 전태일정신을 담은 작품으로 동부권직장맘센터가 1호로 받는 영광스런 날이기도 했습니다. 일하는 여성의 삶을 응원하는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가 더 잘하라는 격려의 의미로 받은 의미있는 선물인 것 같습니다.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는 일하는 여성, 행복한 직장맘들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기획협력팀 백진영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지급개선 등 노동법률교육 진행

FILE_000000000001564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는 5월15일 동부여성발전센터 대강당에서 광진구 국공립어린이집을 대상으로 노동법률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우려로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가 마침내 진행된 만큼 참석자나, 강의를 맡은 센터 상근 공인노무사나 모두 열기가 높았습니다.다른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연차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1년 미만 근속자와 장기 근속자의 연차발생 개수, 퇴직금 정산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근로계약서에 반드시 넣어야 할 내용, 특히 기간제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작성할 때 필요한 내용 등 상세하게 설명하고, 취업규칙을 개정할 때 취해야 하는 조치 등도 포함했습니다. 많은 여성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는 어린이집이라 모성보호 관련 사항에 대해서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육아휴직 급여 사후지급금’은 그동안 육아휴직 후 복귀하고 6개월 이상 근무를 하지 않으면 지급되지 않았으나 2020년 3월 31일자로 고용보험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비자발적으로 이직하는 경우”는 사후지급금 지급예외에 포함되었습니다. 때문에 근로계약기간 종료,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및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으로 이직하는 경우에는 육아휴직 급여 사후지급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감염예방을 위해 전원이 마스크를 끼고, 거리를 두고 앉아서 진행하였습니다. 마침 스승의 날이어서 교육을 주최한 협회에서 다양한 선물도 준비해주셔서 더욱 풍성한 교육이었습니다. 교육이 끝난 후에도 개별적인 질의가 계속 이어질 만큼 열기가 높았습니다.

 

향후 사업장인식개선사업으로 이어서 진행키로 하여 노동법률 교육의 실효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김미정 법률지원팀장

 

2020 성평등노동인권지원단 위촉 “그 어느 때보다 전문가 역할 절실”

FILE_000000000001476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는 5월 14일 ‘2020년 성평등노동인권지원단’ 위촉식을 갖고 새로운 활동을 결의했습니다.
2020년 지원단은 공인노무사 8명, 변호사 2명, 심리상담전문가 2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되어 2020년 12월 31일까지 활동을 이어갑니다.

 

 

 

FILE_000000000001478

 

2012년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가 설립된 이래 꾸준히 활동을 해온 지원단은 2020년에는 제도개선 분과, 밀착지원분과, 교육분과로 나누어 활동키로 하고 역할분담을 마쳤습니다. 제도개선분과는 모성보호제도와 관련된 법률제도 정책을 논의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제도개선을 추진하는 과제를 수행키로 했습니다. 밀착지원분과는 온라인 상담 및 사업장 인식개선 사업 등을 지원하며 직장맘·대디들이 있는 곳이면 어디나 말 그대로 “밀착”하여 지원하는 과제를 수행키로 하였습니다. 교육분과는 상근노무사 역량강화 교육은 물론 직장맘·대디 혹은 예비 직장맘·대디를 대상으로 하는 노동법률 교육 교재 제작 등의 사업을 수행합니다. 특히 노동 실무 관련 교육 교재를 추천하거나 고용노동청 및 노동위원회 사건 대리 등의 교육도 진행하게 됩니다.

 

지원단은 ‘코로나19사태’로 위촉 및 전체회의가 늦어진 만큼 더 활발하게 활동하자는 결의를 모았습니다. 김지희 센터장은 “육아휴직 뿐 아니라 출산휴가도 원직복직을 못할까봐 두려워 주저하는 상황”이라며 “전문가들의 역량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하였습니다. 향후 지원단은 분과회의를 개최하여 본격적으로 활동을 할 것입니다.

 

 

 

김미정 법률지원팀장

 

 

서울시동남권NPO지원센터와 업무협약 체결

  FILE_000000000001480 5월12일,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가 서울시동남권NPO지원센터(센터장 위정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두 기관은 일하는 여성들의 노동권 확보와 일·생활균형을 위해 공동사업을 진행하는 등 상호협력해 나갈 것이며, NPO 활동에 노동가치 존중과 이해력을 높이는 계기와 기반을 만들어 가기로 하였습니다. 서울시동남권NPO지원센터는 올해 3월, 동남권 시민공익활동을 촉진하고 시민참여기반 확장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서울시 위탁기관입니다. 동남권 지역 풀뿌리 시민단체 활성화와 활동가 역량강화, 지역의 공론장 마련 등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동남권NPO지원센터 활동은 블로그를 통해 확인하세요.  FILE_000000000003101 (클릭) 백진영 기획협력팀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배너를 달아주세요!!

FILE_000000000001484  (바로가기 클릭)

 

FILE_000000000001489

 

 

직장맘의 ‘일·생활 균형이 가능한 삶’을 위해 2019년부터 지역별로 구성된 <직장맘114권리지킴이>가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홍보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바로 센터 배너를 기관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는데요, 현재 <직장맘114권리지킴이> 중 5개 기관이 참여했습니다.
강동노동권익센터(www.gangdong.go.kr/nodong/ ), 광진구노동복지센터( http://www.gjworker.org/),
성동근로자복지센터( https://www.sdlabor.or.kr/), 성동여성인력개발센터( https://sd.seoulwomanup.or.kr/),
중랑노동자종합지원센터( http://jnlabor.org/) 가 배너를 게시하여 직장맘지원센터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정말 직장맘들의 든든한 지킴이가 아닐 수 없습니다.

 

모성보호 정보가 필요한 (예비)직장맘, 직장대디들이 손쉽게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를 찾아올 수 있도록 서울특별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배너 각 기관홈페이지 및 블로그(까페)에 달기 는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많은 참여바랍니다. 

 

문의전화 : 기획협력팀 최은선 (02-332-7171)

 

※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배너를 홈페이지 및 블로그(까페)에 달고 싶다면 아래의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로고이미지를 삽입하고 홈페이지 주소를 링크하면 됩니다.

★방법★

1) 배너 이미지 (택 1) 홈페이지에 업로드한다.

-1단 배너-                                                                            -2단 배너-

 

FILE_000000000001494                        FILE_000000000001496

2) 배너에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링크주소를 달아준다.

링크 주소 : http://api.workingmom.or.kr/

 

© Copyright by 서울특별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주)한생미디어와 일생활균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_000000000001509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가 ㈜한생미디어(대표 김태일)와 4월 24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향후 동부권센터와 한생미디어는 모성보호 강화와 일생활균형이 가능한 기업문화조성을 위해 관련 사업에 상호 협력하고 공동사업을 함께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한생미디어는 한국생산성본부(KPC) 부설 인쇄, 출판 등 전문기업으로 성평등 노동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일·생활 균형 기업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백진영 기획협력팀  

메트로 9호선 신논현역, 고속터미널역에 모성보호 상담안내 배너 게시

 

FILE_000000000001501

(왼쪽 안석중 신논현역, 고속터미널역 그룹장) 서울시메트로9호선 내에 직장맘지원센터 배너가 설치되었습니다. 지난 23일,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김경희 팀장은 모성보호상담안내 배너 설치를 위해 신논현역과 고속터미널역을 방문하였습니다. 안석중 그룹장님은 고속터미널과, 신논현역을 포함 5개역을 관리하고 계시는데요. 이날 직접 배너 설치를 돕고  인증샷에도 참여해주셨습니다. 동부권을 포함 3개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는 지난 1월 서울시메트로9호선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올 한 해 동안 직장맘, 대디들을 돕는 모성보호상담 홍보배너를 9호선역에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 관련한 고민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에 상담 문의하세요. 백진영 기획협력팀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