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사업주에게 지원되는 “육아휴직 지원금” 전액 지원 요건이 완화되었나요?







📦"배달라이더·택배노동자도 출산전후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근로자가 아니어도 출산하면 지원받을 수 있어요! 노무제공자도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출산전후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출산 전후 90~120일, 월 최대 210만 원, 최소 80만 원 (2025년 기준) ✅ 받을 수 있는 조건은? ✔ 고용보험 가입 3개월 이상 ✔ 출산 후에는 일하지 않을 것 ✔ 출산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출산은 경력의 멈춤이 아니라 보호받아야할 권리입니다!👩🏭 5월 1일, 노동절
우리는 묻습니다.
“노동의 권리는 모두에게 평등한가요?”
💬 급여, 승진, 배치, 경력단절…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는 차별과 불이익은 오늘날에도 여전합니다.
📊 성별임금격차 OECD 1위 (1996~2022년)
👩💼 여성 10명 중 6명, 경력단절 경험
📉 육아휴직 후 돌아온 자리엔 불이익이 기다립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돌봄은 가족의 일, 그리고 사회의 일입니다.
여성에게만 책임을 지우는 구조를 넘어 우리 모두가 존중받는 노동 환경을 만들어가요~~
✨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인사·노무 길잡이!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인사·노무 Q&A' 핸드북이 발간되었습니다 😊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인사·노무 Q&A'는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주제를 Q&A 형식으로 쉽고 명확하게 정리한 실무 중심의 안내서입니다.
특히 모·부성 보호와 일·생활 균형, 근로계약, 임금, 근로시간과 휴식, 산업안전보건, 근로관계 종료 등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로 가득 담았습니다.
📌 핸드북의 첫 장에는
<한 눈에 보는 모·부성 보호 및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도 수록되어 있어, 제도를 전반적으로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차례
1. 모·부성 보호와 일·생활 균형3. 임금
4. 근로시간과 휴식
5. 산업·안전 보건
6. 근로관계의 종료
✔️ 소규모 사업장의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해설과 사례 중심 구성!
✔️ 노무 관리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많은 관심과 활용 부탁드립니다💕
퇴근 후, 또 다른 출근이 시작된다.
일터에서 일하고, 집에서는 부모이자 자녀로 돌봄을 이어가는 삶.
우리는 이것을 "이중돌봄" 이라 부릅니다.
🔹 아이를 돌보면서 부모님의 건강도 챙겨야 한다면?
🔹 일과 가정을 오가며 스스로를 돌볼 시간이 없다면?
🔹 그 무게가 나만의 책임처럼 느껴진다면?
이중돌봄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로 남아서는 안 됩니다.
돌봄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할 중요한 노동입니다.
💡 보이지 않는 노동을 가시화하고, 돌봄을 나누는 사회
💡 나 자신도 소중히 돌볼 수 있는 환경
💡 일과 돌봄이 공존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
여성의 권리와 성평등을 위해 함께하는 날입니다. 🔹 빵은 생존권을 🔹 장미는 참정권을 상징합니다.
과거 여성들은 “빵과 장미를 달라!” 외치며 차별 없는 세상을 꿈꿨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함께해야 합니다.
💡 워라밸을 위한 우리의 역할 💡 🏢 직장에서는? ✔ 동등한 기회 제공 : 공정한 승진과 직무 배정 ✔ 육아휴직·유연근무 활성화 🏡 가정에서는? ✔ 가사·육아 공동 분담 ✔ 성별 고정관념 깨뜨리기 : 역할에 성별 구애 X성평등한 사회를 위해 모두가 함께할 때, 더 나은 내일이 만들어집니다.| 오늘, 그리고 매일 성평등을 위해 함께해요!
임신 중 직장맘이 일과 건강을 모두 지키는 방법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이렇게 활용하세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란?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 여성 노동자는 (고위험 임신 노동자는 임신 전기간 단축 가능)
✅ 1일 2시간 근로시간 단축 가능 ✅ 임금 삭감 없이 단축 가능 ✅ 모성보호를 위한 법적 권리
* 관련 법령 : 근로기준법 제74조 제7항에 근거
하루 쉬는 것도 가능할까?
Q.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을 꼭 1일 2시간만 사용해야 하나요? A. 노사 합의 후, 주 단위로 근로시간을 나누어 1일 휴무 형태로 근로시간 단축을 할 수 있습니다.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개정 주요내용
<출처> 근로기준법 개정안 법률 제20520호, 2024. 10. 22. 일부개정
✔️ 개정법 시행일 : 2025. 2. 23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방법
✅ 근로시간 단축 신청서 작성 ✅ 의사의 진단서 제출 ✅ 사용자에게 3일 전까지 제출
모·부성보호를 위한 권리를 적극 활용하세요!
상담시간 :10시 ~ 17시 (휴게시간 12~13시) *야간상담 : 매월 첫째, 셋째 화요일 18시~20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