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미하긴 하지만 남성 육아 휴직자 자체는 점차 증가하는 중. 지난 2011년 1402명에서 지난해 1만명으로 훌쩍 늘었다. ‘아이가 똑똑한 집, 아빠부터 다르다’ ‘아빠 육아 공부’ ‘기적의 아빠 육아’ ‘아빠 퇴사하고 육아해요’ 등 ‘아빠 육아’를 다룬 책도 쏟아진다. 청신호다. 그런데 왜 ‘아빠 육아’를 다룬 글에서는 ‘부정적 감정’이 늘어나고 있을까.
첫째, 남성이 갑자기 양육 책임을 안게 되면서 ‘반발심’이 생겼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미화 육아정책연구소 기획조정본부장은 “남성을 상대로 일·가정 양립 요구가 빗발치자, 아빠 육아에 대해 생각도 준비도 안 된 이들이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윤진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은 “남성 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이 우리 현실이고 칼퇴근도 어려운 상황에서 ‘아빠 육아’를 강조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라며 “국가는 아이를 낳아 키우라는데 기업은 (아이를) 낳지 말라고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둘째, 남성이 행복감뿐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건 당연한 일이라는 시각도 있다. 김혜영 숙명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육아는 고통과 보람 등 다양한 감정을 불러오는 일인데, 아빠들이 직접 겪으며 이걸 이해해가는 것”이라고 했다.
[기사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