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FILE_000000000004343

 

 

 

[이미지 출처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근로자가 자녀늘 양육하기 위하여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을 단축하여 근무하는 제도입니다.휴직을 사용하지 않고 근무를 지속하기 때문데 근로자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귄리 시리즈 제5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4 (유.사산휴가)파일 첨부됨

FILE_000000000004376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유산·사산휴가란?

 

유산·사산은 여성에게 출산 못지않은 정신적·신체적 영향을 미칩니다. 유산 또는 사산하였을 때도 출산에 준하는 회복의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유산·사산휴가는 여성 근로자가 유산·사산에 의한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회복하여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유·사산휴가는 모든 여성 근로자가 유산 또는 사산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임신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그럼,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4탄, 유·사산휴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3 (배우자 출산휴가)파일 첨부됨

FILE_000000000004377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배우자 출산휴가란?

 

배우자가 출산했을 때, 남성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인데요. 출산한 여성근로자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고,

남성의 육아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모든 남성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고,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은 3~5일입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휴가를 희망하는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배우자의 출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휴가를 신청해야 합니다.

즉 신청 없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휴가는 아닌 것이죠.

 

음~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3탄,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2 (육아휴직)파일 첨부됨

FILE_000000000004380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육아휴직이란,

 

만 6세 이하의 초등학교 취학 전 자녀를 둔 근로자가 자녀의 양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휴직제도로

 

출산, 육아 부담으로 인한 근로자의 경력단절을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을 할 수 있는 기간은 최대 1년이며 동일한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각각 1년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0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자녀를 둔 근로자는 개정 전 법령이 적용되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음~ 지금부터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2탄, 육아휴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1 (출산전후휴가)파일 첨부됨

 

 

FILE_000000000004382FILE_000000000004383

[이미지 출처: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발간 안내서, ‘임신, 출산, 육아기 근로자의 궁금한 77가지]

 

 

 

출산전후휴가란,

 

임신한 여성 근로자가 자녀를 낳을 때 출산일 전후에 사용할 수 있는 휴가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출산을 준비하고, 출산 후에는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에 따라 출산전후 90일의 휴가가 보장됩니다.

 

임신한 여성근로자라면 누구에게나 법적으로 보장되어있는 출산전후휴가!

 

직장 내 법적 권리 시리즈 제1탄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