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6+6 부모육아휴직제도 및 육아기단축근로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맞벌이 부부입니다. 저는 18년도에 회사에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포함해 1년 3개월 꽉 채워서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한 상황입니다. 25년부터 6+6 부모 육아휴직제도가 도입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아래 상황인 경우 제가 위 제도를 사용할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1. 현재 기준(25. 10. 29) 아이 연령은 7세이며(19년 4월생) 2. 아빠가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시, 추가적으로 엄마에게 6개월의 육아휴직이 부여되는지 3. 육아휴직이 부여되는 경우 아빠 육아휴직 기간동안 지원금이 월 얼마씩 지급되는지 4. 엄마에게 추가적으로 부여되는 6개월 육아휴직에 강제성이 있는지(권고형태는 아닌지) 5. 회사에 몇개월 전부터 육아휴직 고지를 해줘야 하는지 6. 아이 연령이 몇살이 될 때까지 6+6 부모육아휴직제도 사용이 가능한건지 7. 아빠 3개월 이상 육아휴직+엄마 6개월 육아휴직 사용, 이후 필요시 아빠에게 주어진 육아휴직 기간 (아빠는 지금까지 육아휴직 사용 경험이 없는데, 아빠에게 총 1년 6개월의 육아휴직이 주어진다면 3개월 육휴 사용 이후 남은 1년 3개월의 육아휴직은 아이 연령 몇살때까지 쓸 수 있는지) 더하여, 육아기단축근로는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다면 사용이 가능한 걸까요? 1. 육아기단축근로의 경우 자녀의 연령에 따라 사용 시기가 정해져 있는지 2. 육아휴직 1년을 모두 사용한 경우, 육아기단축근로 기간 동안 정부에서 월 지원금은 받아볼 수 없는지 3. 단축근로기간 동안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면, 몇 개월간 월 얼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지 4. 육아기단축근로는 강제성이 없는지 위 관련하여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출산 육아휴직 기간 관련

출산 예정일이 26년 1/12 입니다 26년 1월부터 출산 휴가를 들어가려고 하는데 1/1 공휴일이다 보니 출산휴가 시작일을 1/1부터로 해야할지 1/2부터 해야할지 문의드립니다. 다 상관 없다면, 언제로 하는게 직장인 저에게 더 나은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종료] 종합상담(카카오톡, 전화, 온라인 등) 만족도 조사를 실시합니다!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는 더 나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까지 진행된 종합상담(카카오톡, 전화, 온라인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은 상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종합상담 만족도 조사지로 연결됩니다! ※ 상기 일정은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보] 고용노동부, 올해 9월 육아휴직 사용자 14만명 돌파_아빠 육아휴직 비중 약 37%

-2025년 1∼9월까지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 141,909명으로 작년 연간 수급자 추월 -노동부, 중소기업 사용 부담 완화 위해 내년 지원 예산 확대 추진 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는 올해 19월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가 141,909으로 작년 같은 기간(103,596)보다 37.0%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중 아빠 사용 비율 약 37%] 올해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52,279)는 전체의 36.8%로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 이상이 남성으로 나타나 맞돌봄 문화가 확산. 이는 부모함께 육아휴직제*(‘24년~)의 현장 안착과 더불어 올해부터 육아휴직 급여 월 최대 250만원 인상, 부모 모두가 3개월 이상 사용 시 육아휴직기간 연장(116개월) 등 제도 개선의 효과. [중소기업 육아휴직 사용 비중 58.2%, 내년 지원은 더욱 확대] 올해 19월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는 82,620(전체의 58.2%)으로 전년 동기(57.0%) 대비 1.2%p 증가. - 근로자가 육아를 위해 하루 1시간 근로시간을 줄이고도 임금이 삭감되지 않도록 허용한 사업주에게 월 30만원을 지원하는 육아기 10시 출근제를 새롭게 도입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사용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도 기준 금액 상한액을 현재 22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 -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에 따른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체인력을 채용하는 경우, 내년부터는 30인 미만 사업장은 월 140만원, 30인 이상 사업장은 월 130만원으로 인상한다. 또한 지원금의 50%를 사후에 지급하는 방식을 폐지하고 대체인력 사용기간에 전액 지급할 예정 - ‘육아휴직 업무분담지원금의 지원수준도 인상 (현재 월 20만원인 지급한도를 3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월 60만원, 30 이상 사업장은 월 40만원으로 인상) ▶ 자세히 보기 : 고용노동부(클릭)

검진휴가 관련

태아검진휴가는 꼭 산부인과 정기검진만 해당 되나요? 정기검진 외에 산부인과에서 받는 진료, 검사 등은 해당 사항이 없는건가요?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출산예정일이 2026년 1월 31일인 직장맘입니다.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1. 2026년도 연차 소진을 어떻게 해야 유리할까요? 내년에 연차가 15개 발생하는데 이를 출산휴가 전에 모두 소진하면 될까요? 2. 출산휴가 종료일 산정 방법 법적으로 출산휴가가 90일인데 평일만 카운팅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2026. 1. 19 ~ 2.6에 26년 연차 15개를 소진하면 2.9부터 출산휴가 90일이 들어가게 되는데 종료일이 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3. 출산휴가 신청 방법 출산휴가는 어디서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4. 육아휴직 종료일 산정 밥법 육아휴직 시작일은 출산휴가 종료일 다음날이 될텐데 휴직 1년인 경우 종료일이 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5. 육아휴직 신청 방법 육아휴직은 어디서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6. 육아휴직 기간 중 상황이 달라져 최초에 신청한 휴직 기간의 변경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최초 신청당시 1년으로 신청했는데 6개월로 기간을 줄이거나 1년 6개월로 기간을 늘리는게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바쁘시겠지만 정성스러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글 추가 질의

1717545600000 접수번호 추가질의합니다. 육아휴직 급여를 받기위해선 사용기간이 30일 이상 되어야한다고 하셨는데, 7월 24일 - 9월 29일(약 2개월) 먼저 육아휴직을 사용한 바 있습니다. 해당하는 일수만큼 급여를 지급 받았구요. 그럼 복직 후 다시 육아휴직(10일가량) 들어가게 되면 30일은 새로 카운트가 되는건가요? 이전에 30일 이상 사용하였는데도 안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육아휴직 급여 제도 문의

안녕하세요, 2025년 4월 25일 남아 출산 4월 25일~7월 23일 : 출산휴가 7월 24일~9월 29일 : 육아휴직 (육아휴직 급여 수령 완료) 9월 30일 복직 후 근로 중 단기육아휴직의 경우 아직 법제화 되지않아 최소 육아휴직 기간은 30일 이상 되어야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다만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복지 차원에서 일년에 1번, 2주이내 육아휴직은 분할 횟수로 차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질문1 : 제가 올해 1주일에서 2주일 정도 육아휴직을 사용하게 된다면(예를 들어 12/1~12/10) 육아휴직 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기사용된 육아휴직 일수가 30일이 넘어 추가 사용한 10일에 해당하는 것만큼 일할계산 되는지, 아니면 따로 지급이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2: 이렇게 사용하게 된다면(30일 미만의 단기 육아휴직) 나라에서 정하는 3회 분할횟수에서 차감되나요? 3회 분할해 4번 나눠사용할수 있다고 본다면, 3회중 1번 차감이 되는걸지요? 후에 단기육아휴직이 생긴다면 소급적용은 안될까요? 보통 어떻게 되는지 궁급합니다! 감사합니다.

출산급여계산이 궁금합니다.

중소기업인 당사에 출산휴가가는 직원이 있는데요. 출산급여지급을 얼마를 하는게 맞게 계산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가는 직원의 급여는 기본급 300만원에 식대20만원이고 1년중 명절에 상여를 급여의 50%로 150만원을 지급 받습니다. (삼여금 300만원은 명절이 있는 달에 이미 나감) 이런경우 통상임금은 345만원이어서 그렇게 확인서를 제출하려고 하는데요. 11월급여는 원래 320만원을 지급하는달인데 그금액이 아닌 345만원을 지급해야 하는건가요? 조금전에 공단에 문의 해보니 상여가 원래 대로 나갔으면 11월급여는 원래 지급하는 320만원에서 210만원을 빼고 나가는거라도 하는데 뭐가 맞는걸까요?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