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 자녀 권리존중 부모교육(발달편)
우리 아이는 가정 내에서 존중받고 있을까?

성동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성동구 내 협동과 연대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민 생활 영역에서 사회적경제 가치를 실현하며, 안심돌봄네트워크 운영·건강한 일터 조성 등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입니다.
이 두 기관을 방문하는 (예비)직장맘·대디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센터는 동부권 내 다양한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더 많은 직장맘·대디에게 모·부성보호제도 및 노동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해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우리 센터 소개 리플렛과 모·부성보호제도 안내서의 비치를 원하는 기관이나 단체는 센터로 연락 주시면 언제든지 찾아가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센터장 김지희, 이하 센터)는 2025년 ‘작은사업장 야무진 육아휴직 챌린지(이하 챌린지)’를 진행한다. 이번 사업은 모·부성보호제도 사각지대인 50인 미만 작은사업장에 직장맘·대디의 노동권 및 모성·부성권리 보호 지원을 통해 경력단절 예방과 일·생활 균형 사회문화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 작은사업장의 육아휴직 사용 비율 현저히 떨어져
- 통계청(2022)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1년 출생아의 경우 육아휴직을 사용한 아버지의 경우 300명 이상이 69.4%, 50~299명이 13.9%, 5~49인이 11.9%, 5명 미만의 경우 3.6%다. 어머니의 경우 61.8%가 300명 이상, 15.4%가 50~299명, 17.7%가 5~49명, 4.4%가 5명 미만 사업장 소속이다.
- 사업체 규모별 종사자 수를 보면 5명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3,138,284명(총 18,182,282명 중 17.3%), 5~49명 규모는 7,936,282명(43.6%)이고, 50~299명 규모는 3,914,088명(21.5%), 300인 이상은 3,193,628명(17.6%)에 불과한 실정이다.
- 결국 규모가 작은 사업장에 다수의 노동자가 근무함에도 육아휴직 사용 비율은 현격히 낮은 게 현실이다.
□ <작은사업장 야무진 육아휴직 챌린지> 사업 안내
- 챌린지 사업의 주요 내용은 사업장(사업주 및 인사노무 담당자) 컨설팅을 통해 취업규칙 등 운영 규정을 함께 점검하고, 지자체 및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모·부성보호지원제도의 변경 사항 및 사용법을 바르게 안내하는 것이다.
- 대상은 50인 미만 작은 사업장 사업주 및 작은 사업장 모·부성보호제도 사각지대에 놓인 직장맘·대디로 사업주가 신청 시 무료 컨설팅은 물론, 전직원 대상 ‘야무진 홍보 꾸러미(우산+텀블러+수건+에코백)’가 증정되고, 기차여행 및 원데이클래스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 온 마을이 함께 기른다 ! 재단법인 희망철도 ‘마음 잇는 기차여행’ 및 사단법인 노동포럼 워라밸 ‘피움’ 프로젝트와 연계
- 챌린지 사업은 작은 사업장의 모·부성보호제도 안착을 위한 사업에 동의하는 여러 단체와 함께 추진되었다. ‘작은사업장 워라밸 피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사단법인 노동포럼과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며, ‘마음 잇는 기차여행’을 진행해 왔던 재단법인 희망철도 재단 역시 이번 사업에서 직장맘·대디의 워라밸 여행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 또한 동부권에 있는 성동사회적경제지원센터, 중랑성평등활동센터 등 지역기관들과 협업하여 다양한 사례를 발굴하고 사회문화 조성을 만들어 가고자 한다.
□ 임신・출산휴가, 육아휴직, 작은사업장도 할 수 있어야 저출산 극복 가능
-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관계자는 “이번 작은사업장 야무진 육아휴직 챌린지를 통해 작은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주분들도 개정된 법안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지원제도가 있음을 인식하시기 바라며, 직장맘・대디들한테는 응원과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신청 및 자세한 내용 :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홈페이지
※ 붙임 : 1. 작은사업장 야무진 육아휴직 챌린지 배너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