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육아휴직기간 퇴직금

2013년 입사를하여 1년이상 근무 후 출산을 하여 육아휴직을 사용하게되었습니다.
당시 육아휴직 허용이 회사측에서 쉽지 않았어요. 퇴직금을 포기할거냐고해서
복귀 의사가 없었기때문에 퇴직금 안받아도 되니까 육아휴직 해달라고 요청하니
A4용지에 퇴직금포기한다는 내용을 기재하라고하여 기재하였습니다.
육아휴직 이후 회사에서 복귀여부를 물어보셨고 복귀를해야 일정금액이 회사에 나온다고 하셔서 2016년에 복귀를 하였고 현재까지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아이3명이여서 고민끝에 육아로 인해 퇴사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지금 퇴사를 하게되면 당시 퇴직금 포기 내용이 효력이 있는건지 궁금해서요.
육아휴직기간도 퇴직금 포함으로 알고있는데 제가 알고있는게 맞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서울교통공사 일․생활 균형 확산 힘 모은다

2019-09-05일자

FILE_000000000001491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서울교통공사 일생활균형 확산 힘 모은다

 

 9.5(목) 서울시직장맘-서울교통공사 ‘일‧생활 균형제도 사회적 인식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지하철 역내 동영상, 포스터 등 활용 홍보, 직장맘 노동법률 교육 및 상담 등
 하루 720만 명 시민 이용하는 지하철 공간 활용해 일‧생활 균형제도 확산 노력

 

□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와 서울교통공사가 일․생활 균형제도의 사회적 인식 확산을 위해 힘을 모은다.
□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는 서울교통공사와 이와 관련한 업무협약을 9월 5일(목) 오전 9시 40분 서울교통공사 본사 스마트안전통합상황실에서 체결한다고 밝혔다.

 

   ○ 협약식은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동부권 김지희 센터장, 서남권 김문정 센터장, 서북권 양지윤 센터장과 서울교통공사 김태호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 두 기관은 앞으로 지하철 역내 동영상과 포스터 등 홍보매체를 활용해일․생활 균형 제도를 알려나가고, 지하철 역사 내에서 직장맘에게 필요한 모성보호 법률정보, 상담안내 등을 하는 등 시민들의 왕래가 많은 지하철 공간을 활용해 일․생활 균형제도가 확산될 수 있도록 사업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 김지희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장은 “지하철은 많은 시민들이 오가는 일상의 공간이자 중요한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직장맘지원센터가 널리 알려져 직장맘들이 실질적인 법률상담과 지원을 받았으면 좋겠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일․생활 균형제도를 알리는 캠페인과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직장맘 고충해결에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통합해 출범한 서울교통공사는 하루 72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스마트안내정보시스템 등 효율적인 정보 전달 체계도 갖추고 있다. 시민과 직장맘의 일․생활 균형이 가능한 사회는 ‘행복한 시민, 신뢰받는 기업, 글로벌 No1’ 이라는 서울교통공사의 비전과도 맞닿아 있다”며 협약을 체결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는 서울시 위탁기관으로 2012년 개소를 시작해 동부권(광진구), 서남권(금천구), 서북권(은평구)에 위치해 직장맘의 노동권, 모성보호 상담 및 법률지원 등 직장맘의 고충해결과 환경개선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해오고 있다.

 

FILE_000000000001493

 

 

[뉴시스] 일-삶 균형 확산’…서울지하철에 홍보강화

FILE_000000000002952

 

【서울=뉴시스】윤슬기 기자 = 서울시가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홍보 강화에 나선다. 동영상 등을 활용해 서울 지하철 역내에서 일·생활 균형제도를 알릴 방침이다. 

 

서울시 직장맘지원센터와 서울교통공사는 이와 관련한 업무협약을 오는 5일 오전 9시40분 서울교통공사 본사 스마트안전통합상황실에서 체결한다고 4일 밝혔다. 

 

두 기관은 앞으로 지하철 역내 동영상과 포스터 등 홍보매체를 활용해 일·생활 균형 제도를 알린다. 지하철 역사 내에서 직장맘에게 필요한 모성보호 법률정보, 상담안내 등도 진행한다. 

 

김지희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장은 “지하철은 많은 시민들이 오가는 일상의 공간이자 중요한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일·생활 균형제도를 알리는 캠페인과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직장맘 고충해결에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서울교통공사는 하루 72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스마트안내정보시스템 등 효율적인 정보 전달 체계도 갖추고 있다”며 “시민과 직장맘의 일·생활 균형이 가능한 사회는 서울교통공사의 비전과도 맞닿아 있다”고 말했다.(기사원문보기)

 

yoonseul@newsis.com

 

 

육아휴직 뒤 퇴직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작년에 정규직 직원 5인 있는 여행사에 재직하다가 출산으로 인해 출산휴가 뒤 현재 육아휴직 중이에요.
악덕 사장 때문에 작년에 이곳 소속 노무사님과 상담하고 겨우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받았구요,(그때 넘 감사했어요ㅜㅜ)
올 12월에 육아휴직이 끝나는데 복직은 할 생각이 없어요.
언뜻 듣기로 얼마전에 직원 2명 그만두고 다른 직원 채용한걸로 아는데 정확히 직원 몇명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저같은 경우는 사직서 언제까지 제출하고 양식과 제출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되도록이면 방문하고 싶지 않아서요ㅜ 그리고 제가 2017.7 중순 입사, 2017년 11월에 정규직 되었고 2018.10~2018.13출산휴가, 2019.1~ 현재 육아휴직 중인데 퇴직금은 몇개월치 받고 (세금 보험료 등 포함여부 알고 싶어요) 언제 받을 수 있는지,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유휴수당인가? 그것도 알고 싶어요. (2017 년엔 휴가 없었고 2018년엔 4일인가? 연속 휴가 받았구요, 명절 같은날엔 10만원 현금으로 줄 때도 있었고 회사 사정 안 좋을 때 아예 안 받을 때도 있었는데 이와 관련해서 제가 덜 받은게 뭔지 궁금해요. 그리고 휴가 4일인가 그거는 증거랄게 거래처랑 카톡으로 나 언제까지 휴가다라고 한게 다인데 그걸로 충분할까요?)
폰으로 급히 작성하느라 두서없이 적어서 죄송합니다. 답변 꼭 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되도록이면 이메일로 답변 부탁드려요.)

육아휴직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도급사소속(B소속)으로 자사(A소속)와 도급사(B소속)간의 업무계약해서 자사(A소속)에서 일하고 있는 생산사무직입니다. 현재 근무한지는 2년이 다되갑니다.(2017년 12월 입사입니다.)
이번에 임신을 하게되어 12월 출산예정입니다. 11월 초에 출산휴가를 쓰고 그 이후에 바로 육아휴직을 쓰려고하는데
출산휴가는 법적의무이니 주시려고 하는데 육아휴직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가 않아서요.
회사의 사정이 안좋아져서 육휴를 끝마치고 왔을때는 일하던 자리가 없을수도있다
하는 식으로 저를 설득?하려고 하는거같습니다.
저는 육아휴직을 꼭 받고싶은데 육아휴직을 거절하면 제가 취할수 있는 행동?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신고를 하면 육아휴직을 받을수있는건지…
그리고 서로 협의를 못보고 출산휴가를 들어갔다가 육아휴직쓰기 1달전에(즉 출산휴가가 끝나기 한달전에) 회사에 육아휴직을 쓰겠다는 내용증명또는 확인서를 제출하면 되는건지 그전에 무조건 서로 협의를 해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육아휴직후 연차 사용 추가문의 드립니다.

2018년 4월 1일부터 2019년 3월 31일까지 육아휴직 후 복귀했습니다. 육아휴직기간도 근무기간으로 포함되어 연차발생된다고 하는데요. 2018년 연차를 사용하지 않고 출산휴가+육아휴직 들어간 경우 2019년 복귀했을때 2019년 연차 + 2018년 미사용 연차 같이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기본 15개 기준으로 연차 사용갯수 궁금합니다. (18년도 몇개, 19년도 몇개)2018년 5월 29일 이전 육아휴직신청자는 기간에 비례하여 발생된다고 하는데 알려주세요^^

육아휴직 연속 사용 시 육아휴직사후지급금 문의

안녕하세요.

쌍둥이 육아휴직을 2년 연속해서 사용할 경우,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은 2년 후
6개월 복직하고 2명치를 한꺼번에 받는 것인가요?

아니면 첫째 육아휴직 다 사용하고 둘째 육아휴직할 때 6개월이 지나면 둘째 육아휴직중에 첫째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을 신청할 수 있나요?

육아휴직기간은 재직으로 본다고 하여 첫째 육아휴직 마치고 복직 후
바로 둘째 육아휴직을 진행하면 휴직중에도 첫째 사후지급금을 받을 수 있나 해서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