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아휴직 종료전 출산
안녕하세요~
작년5월 첫째를 출산하고, 출산휴가 후 육아휴직.중에 있습니다.
육아휴직 중 들째를 임신하여 육아휴직이 끝나는 시점보다 한달 정도 빨리 출산을 하게 되었습니다.
육아휴직 종료일은 9월3일
출산예정은 8월12일
이런경우 회사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어떻게 요구해야 정당하게 받을 수 있을까요??
회사에서 이를 거잘 할 경우 제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작년5월 첫째를 출산하고, 출산휴가 후 육아휴직.중에 있습니다.
육아휴직 중 들째를 임신하여 육아휴직이 끝나는 시점보다 한달 정도 빨리 출산을 하게 되었습니다.
육아휴직 종료일은 9월3일
출산예정은 8월12일
이런경우 회사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어떻게 요구해야 정당하게 받을 수 있을까요??
회사에서 이를 거잘 할 경우 제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나요???
입사를
2017년 10월23일에 입사했습니다.
분만예정일이 2020년11월1일이어서
출산휴가를 10월12일에 쓰게된다면
2020년10월23일에 생기는 연차는 받지못하는건가요?
저희회사는.입사일기준으로 연차가생겨요.
출산휴가 육아휴직 끝내고오면
연차가 안생기겠죠?
임신12주이내 근로시간단축을허용해주는게맞는거죠?
만약에
이제도를 사용하기위해 임산부가 사업장에 서류제출을 했는데 불이익을주거나 받아들일수없다고하면
어떻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출산전후 휴가 통상임금과 회사에서 정산받는 금액 문의 드립니다.
저희 회사 급여는 일급(시급)제 입니다.
첫째 출산시 8시간 정상근무를 하여
통상임금산정을 209시간 * 시급으로 계산하였습니다.
둘째 임신중으로 4월에 출산휴가를 계획 중입니다.
현재 임신기 근로시간단축을 하여 6시간을 근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급여는 지원금 40만원이 있어 급여 정산을
평일에는 8시간 근무로 산정을 하고(6시간 근무를 하고 있지만)
주차수당은 6시간, 휴일수당( 유급휴일 – 설날, 연차사용) 은 6시간으로 계산하여
받고 있습니다.
ex) 1월 급여예시 (일급 90,000 / 시급 11,250 )
– 평일 20일(8시간 기준) 기본급여 160시간 * 11,250 = 1,800,000
– 주차 4일 (6시간 기준) 주차수당 24시간 * 11,250 = 270,000
– 휴일 3일 (6시간 기준) 휴일수당 18시간 * 11,250 = 202,500
———————————————————————————————–
2,272,500
이런 경우 통상임금을 어떻게 산정해야 하는지요?
받은 급여로 통상임금을 산정해야 하는지???
아니면 첫째때 처럼 시간으로 따져서 산정을 해야 하는지??
만약 시간으로 한다면 제가 6시간 근무를 했으니 6시간으로 산정을 해야하는지
아님 평일8시간 보정받은 시간으로 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출산전후 휴가신청서 작성시에도 산정기준 단위기간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기입할때도 8시간인지 6시간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2012년 12월생 아이를 가진 워킹맘입니다.
2013년에 12개월 육아휴직을 모두 쓰고 복직 후 3개월 일하고 퇴사하였습니다.
현재 회사는 15년 2월에 입사 후 현재까지 다니고 있습니다.
(주 5일 , 9-6시 근무)
2019년 10월 법이 개정되어 육아기 단축근무 신청이 육아휴직을 1년 모두 쓴 사람에게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아이는 3월에 초등학교 2학년이 되나 나이는 만 8세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런경우 저는 육아기 단축근무를 신청할 수 있는 대상자인가요??
또 언제까지 신청가능한지, 신청 후 언제까지 육아기 단축근무를 지속할 수 있는지요
하루 4시간의 단축근무를 신청한다면 급여계산은 어떻게 되고
옳해 연차 사용 가능일 및 올해 발생 연차는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고싶습니다.
(올해 연차는 16일입니다. )
또 사업주가 육아기단축근무를 거부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적법한 절차도 미리 알고 싶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기사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가 전국 15개 지역을 대상으로 돌봄공동체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2월 21일 밝혔다.
돌봄공동체 지원 사업은 공적 돌봄의 한계를 보완하고 돌봄 친화적인 마을 환경을 조성해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다양한 유형의 돌봄공동체를 발굴해 지역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 놀이, 체험 활동 등 돌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출처 : 여성신문(http://www.womennews.co.kr)
안녕하세요.
얼마전 상담드렸는데 회사 사정으로 육아휴직 종료와 함께 사직을 권고받았고, 이에 사직서 작성하였습니다.
오늘 권고사직 처리하여 실업급여 수급 가능하도록 하겠다 안내받고 이에 대해 민형사상 이의신청하지 않을 것에 대해 서류 작성하고 돌아왔는데요..
서류에 담긴 내용은 회사사정으로 사직을 권고하였으나 사직을 결정한것은 근로자 본인이며, 후에 이에대한 불공정함을 제기하지 않고, 회사 내 비밀을 유지할 것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제가 서류 작성한 이후 희망에 퇴직에 대한 내용이 결정되어 회사 내부에 공유 되었습니다. 저도 근속년수가 있어 퇴직위로금의 금액이 적지 않은데 혹시 구제 방안이나 이의 신청 방안은 전혀 없을까요?
유아기 단축근무에대한 법이 생겨서 잘알아보고 신청했는데..
출근시간이 9시가 아니라는 이유로 못하게 되었네요..
고용노동부에 온라인문의를 해보니 주40시간이상되면 해당되는거로 말해주더라구요.
제가 속해있는 팀은 7시 혹은 8시 출근이예요.. 7시에 출근할때도 있고 8시에 출근할때도 있어요.. 일 8시간 주 40시간으로 일하구요,,. 잔업은 없어요
총무팀에 이번에 초등입학하는 아이가 있어서 단축근무라는게 있으니 신청하겠다고하니 그돈안 신청자가 없었는지.. 아무것도 모르더라구요..
본사에 문의해보고 공문오면 다시 얘기하자고해서 2달정도 기다렸다가 공문을 보니 9시출근자만 한시간단축근무할수 있다고 왔네요.. 이외 출근자는 안된다고 하구요.. 그것도 3월 한달간만 하는거라고 하더라구요..
제가 왜 한달이냐고 일년간이라고 들은거 같다고 하니 본부에서 이렇게 공문와서 이렇게밖에 할수 없다고 하네요..
회사에서 단축근무에 대한 정보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네요.. 강압적으로 그렇게 해도 되는건지,.
억지부러서 다른부서(9시출근)로 간다고 하면 해줄지는 모르나,.. 다른부서로 옮기고 싶지도 않구요.. 지금 현재일 하면서 한시간 단축근무 할수 있는거라는 희망이 사라져서 속상하기도 하네요..
제가 법이 이렇다말해봤자 효과없으니 담당자분이 이런법제도가 있으니 신청자를 받아줘야 한다고 전해줬으면 좋겠는데 어디가 문의해야 하는지 알고싶네요..
참고로 제가 청각장애가 있어서 통화는 조금 불편합니다. 문자나 카카오로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임신 6주 차에 유산을 하게 되었습니다. 유산 후 몸조리 등을 위해서 며칠 요양을 하게 되었는데요, 해당 기간이 무급 처리되었습니다. 이 경우에 유급휴가를 보장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답변
1. 근로기준법 상의 유산·사산휴가의 사용
(1) 근로기준법 제74조의 유산·사산휴가 제도
유산·사산을 한 경우 근로기준법상의 유산·사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산·사산휴가는 출산전후휴가와 달리 근로자가 신청하여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74조 제3항에는 유산·사산하는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유산·사산휴가를 주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4항에는 이 기간은 유급으로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자보건법에 따른 인공 임신중절수술의 경우는 제외됩니다.
(2) 유산·사산휴가의 부여 기준
유산·사산휴가는 유산·사산한 임신기간에 따라 다른 휴가일수를 부여합니다(근로기준법 시행령 제43조 제3항). 휴가부여일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임신기간이 11주 이내인 경우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5일까지
② 임신기간이 12주 이상 15주 이내인 경우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10일까지
③ 임신기간이 16주 이상 21주 이내인 경우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30일까지
④ 임신기간이 22주 이상 27주 이내인 경우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60일까지
⑤ 임신기간이 28주 이상인 경우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90일까지
(3) 유산·사산휴가의 신청
유산·사산휴가는 출산전후휴가와 다르게 사업주에게 신청하여야 합니다. 유산·사산 발생일 및 임신기간 등을 적은 유산·사산휴가 신청서에 의료기간의 진단서를 첨부하여 사업주에게 제출하면 됩니다(근로기준법 시행령 제43조 제2항). 유산·사산휴가는 반드시 유산·사산 수술을 한 시기로부터 시작하는 것은 아니며 관련한 치료를 받은 날을 시작일로 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유산·사산휴가는 거부할 수 없으며 사업주가 거부하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110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4) 유산·사산휴가 기간 동안의 급여
유산·사산휴가 중 최초 60일은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받아야 하며, 60일을 초과하는 일수에 대해서는 30일 상한액 200만원을 기준으로 고용보험에서 유산·사산휴가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고용보험에서는 마지막 30일에 대해서는 회사규모와 상관없이 유산·사산휴가급여(상한액 : 30일 기준 200만원)를 지급하며 최초 60일은 우선지원대상기업에 한하여 유산·사산휴가급여(상한액 : 60일 기준 400만원)를 지급합니다.
2. 직장맘의 경우
내담자의 경우 유산을 한 지 1달이 넘은 상황이었고 유산을 하였던 달에 회복을 위해서 5일간 일을 쉰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회사에서는 해당 기간을 무급으로 처리하였고 이에 의문을 갖게 된 내담자가 상담을 요청했던 사례였습니다.
해당 내담자는 임신 6주 차에 유산을 하게 되어 근로기준법 시행령에 따라 5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고, 유산·사산휴가를 신청하였습니다. 상담 결과 직장맘의 월 통상임금은 180만 원이었으며 내담자는 회사로부터 지급받지 못했던 5일분에 해당하는 유산·사산휴가급여를 고용보험에 신청하여 지급받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