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1월 기획강좌_부모교육 “금쪽이의 자존감! I’m OK를 만드는 부모역할”

자녀는 양육자의 거울입니다.’

 FILE_000000000010055

 

11.10(목), TK엘리베이터코리아에 근무하는 직장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서울 본사에 근무하는 분들 외에 천안, 경기, 충청 등 각 지사에서도 비대면으로 교육에 참여해 주셨는데요, 이번 교육에는 특히 아빠들의 참여가 많았어요. 열정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아빠들의 열기가 매우 뜨거웠답니다.

 

내 아이가 어떤 아이가 되었으면 좋겠는지요? 라는 질문으로 강의를 시작한 오주헌(새롬심리상담센터장)강사는 금쪽이의 자존감! I'm OK를 만드는 부모역할 라는 주제로 자존감을 만드는 부모-자녀대화와 역할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FILE_000000000010052

 

건강하고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자라게 하기 위해 어떻게 양육해야 하는가에 대한 부모들의 고민에 부모는 ‘발광체’이며 자녀는 ‘반사체’ 라는 말과 함께 아이들의 자존감을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육 TIP을 전달하였습니다.

 

교육을 마무리 하며 아이들의 자존감 높이기 3가지 실천

1. 매일매일 아이들이 잠자리에 들기 전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부모가 자녀가 무엇을 할 수 있다고 믿는지를 알려주는 잠자리 의식을 가져라.

2. 하루에 하나씩 자녀가 잘하는 것을 이야기해라.

3. 3(비교/ 비난/ 비판)하지 마라.

를 약속했습니다.

 

FILE_000000000010050FILE_000000000010051

 

자녀는 양육자의 거울입니다. 항상 <잘못>이 아닌 <>에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라는 말로 교육을 마친 후 아이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아이들을 대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좋습니다.’ ‘도움이 되는 강의입니다.’ 라는 교육생들의 평가가 있었습니다.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는 일하는 여성들의 역량강화와 힐링도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하는 모든 여성의 삶을 응원합니다!

 

기획협력팀 최은선

© Copyright by 서울특별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임신중 ,,,퇴사권유?

현재 임신7개월 차이고 1월부터 출산휴가 신천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출산휴가 들어가기 전에 퇴사를 권유 받으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산전 육아휴직-출산휴가-산후 육아휴직 기간 상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23년 6월 18일 출산 예정일인 직장인입니다. 출퇴근이 왕복 3시간 30분 이상 소요되다보니 산전 육아휴직을 사용하여 미리 휴식을 취하고싶은데요! 관련하여 23년 1월 2일(월)부터 산전 육아휴직을 사용하여 출산휴가 - 산후 육아휴직까지 풀로 다 사용하고싶은데 각각 기간을 어떻게 잡아 사용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23년 초부터 산전 육아휴직을 들어가게 되면 23년도에 발생하는 연차 17개을 모두 소진하지 못하고 들어가게 되는데요! 이를 22년에 미리 당겨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그럼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노무관련 질문

1. 휴게시간이 근로계약서에 기재되어있찌만 업무상 오버타임을 진행하는 경우 이에 대해 근로자로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하나요?

함께하는 즐거움_힐링맘 여덟 번째 모임

FILE_000000000010040

 

단풍이 곱게 물든 11월 가을날, 힐링맘커뮤니티가 22년 마지막 활동으로 함께 스트레칭 시간을 가졌습니다.

뚝섬역에 위치한 <근로자건강센터_성동분소>를 방문, 운동처방사의 지도아래 피곤한 몸과 마음을 쭉쭉 펴 보았는데요, 지난여름 스트레칭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시간에는 유연하게 동작을 따라하며 시원하게 몸 근육을 풀 수 있었습니다.

 

FILE_000000000010038 FILE_000000000010039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살짝 몸을 풀고 폼롤러를 이용하여 운동을 했는데요, 선생님의 지도아래 자세를 바르게 교정 받으며 집중해서 할 수 있었습니다. 간단해 보이는 동작이지만 구석구석의 근육을 사용하다보니 어느새 힐링맘들의 이마에 구슬땀이 송글송글 맺혔어요. 동작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 너무 시원해’ 라는 말이 절로 나오네요.

 

간단한 도구를 이용한 스트레칭 동작을 배울 수 있어 유익했습니다.’. ‘스트레칭 후 뻣뻣한 몸이 한결 부드러워지고 가벼워졌습니다.^^’, ‘요즘 몸이 무겁고 근육이 뭉치고 힘든 상태였는데 스트레칭 수업을 하고 나서 몸이 가볍고 풀린 느낌이라 나무 좋았습니다.’ 라는 평가에 만족감이 가득하네요.

 

아쉽지만 이번 모임을 마지막으로 힐링맘 커뮤니티 활동은 종결이 되었습니다.

2021- 2022년까지 2년간 함께한 힐링맘들과 정말 즐거운 추억이 많은데요. 함께 따뜻한 차 한 잔을 마시며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소감을 나누었습니다.

 

FILE_000000000010037

 

사람들과 섞이고 배우며 활기를 찾을 수 있었고 소중한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뜻깊었어요.’. ‘모르고 살았던 새로운 분야의 관심사와 재능의 발전 가능성!’, ‘22년 한 해 동안 나만의 시간은 만들어주어 감사했습니다^^라는 소감과 서로에 대한 감사함과 아쉬움을 전하며 커뮤니티 활동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센터와 함께하는 커뮤니티 활동은 끝이 났지만 힐링맘들이 함께 할 앞으로의 계획은 무궁무진하답니다.

열정 가득 힐링맘의 활동을 늘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기획협력팀 최은선

© Copyright by 서울특별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2022년 서울시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는 거주지 및 활동 거점을 중심으로 정보 교류, 친구 만들기, 여가생활 즐기기 등 다양한 커뮤니티 모임을 지원합니다.

한 눈에 보는 모·부성보호제도 안내서 발행 (2022년)

FILE_000000000010032

FILE_000000000010031

 

직장맘·직장대디를 위한 한 눈에 보는 모·부성보호제도 안내서를 개정하여 4,000부 발행하였습니다. 안내서는 생애주기별로 모·부성보호 및 일·생활 균형지원제도를 안내하고 있으며, 캠페인 및 거리상담 진행 시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안내서를 보시고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상담 주세요!

 

ㅇ 전화상담 : 02-335-0101(평일 10시~17시, 12~13시 휴게시간)

ㅇ 카카오톡 상담: 검색창에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검색 후 채널 추가 

ㅇ 이메일상담 : workingmom@hanmail.net

Back to Top
Product has been added to your c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