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자료
<속보> 육아휴직 급여 인상 확정
( 2025. 1. 1. 부터 시행 )
정부는 12월 17일(화) 국무회의에서
⓵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사후지급금 폐지
⓶ 사업주 지원금 제도 신설
⓷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통합 신청
⓸ 노동자의 육아휴직 신청시 사업주 서면 허용 의무 등을
심의·의결하였습니다.
1. 육아휴직 급여 인상
첫 3개월 상한액 250만원 (1~3개월) (월 통상임금 100%)
그 후 3개월 상한액 200만원 (4~6개월) (월 통상임금 100%)
나머지 기간 상한액 160만원 (7~12개월) (월 통상임금 80%)
1년 최대 2,310만원!
(기존대비 510만원 증가)
< 사후지급금 제도 폐지로 전액 지급! >
2. 육아휴직 사업주 지원금 제도 신설
1)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신설
육아휴직자 대체인력을 고용 또는 파견근로자를 대체인력으로 사용한 우선지원대상기업에
⓵ 월 120만원, 최대 1,440만원(1년) 인건비 지원
⓶ 해고 등 고용조정 제한 요건 있어 확인 필요!
2) 육아기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
⓵ 육아휴직 30일 이상 허용하는 경우 해당 근로자의 업무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 수행하는 근로자를 지정하고,
⓶ 그 업무분담자에게 금전적 지원을 한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에게 지원금을 지원
(지원 금액은 고용노동부 고시로 추후 공지)
3. 출산휴가·육아휴직 통합 신청 제도
노동자의 육아휴직 신청 부담을 덜기 위해 출산휴가 및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 시에 육아휴직도 동시에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
1) 노동자가 자녀 출생 후 18개월 이내 육아휴직을 시작하려는 경우
2) 출산휴가 또는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 시 육아휴직을 함께 신청할 수 있다!
4. 육아휴직 신청 시 사업주의 서면 허용 의무
육아휴직 신청 시 신청일부터 사업주는 14일 이내에 서면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허용 의사 표시’를 하여야 하고,
만약, ‘허용 의사표시’를 하지 않는다면 노동자가 신청한 대로 육아휴직을 허용한 것으로 간주!
< 노동자의 육아휴직 사용권 보호! >
추가적인 QnA는 센터의 카카오톡 상담을 이용해주세요!
전화 상담: 02-335-0101
카카오톡 채널: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채널 추가 후 상담 가능
상담시간: 평일 10시 ~ 17시 (점심시간: 12시 ~ 13시)
순번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66 | 2025년 출산휴가·육아휴직 통합 신청 서식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5-01-09 | 249 |
65 | <속보> 육아휴직 급여 인상 확정 ( 2025. 1. 1. 부터 시행 )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12-18 | 529 |
64 | 직장맘·대디를 위한 한눈에 보는 모·부성보호제도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11-25 | 390 |
63 | 엄마와 아기를 위한 특별한 하루 <임산부의 날>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10-10 | 959 |
62 | <긴급공지> 2024.09.26. 국회통과! 모성보호, 부성보호 제도 개정안 안내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9-27 | 2143 |
61 | 양성평등주간, 우리 같이 알아볼까요?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9-02 | 1679 |
60 | 서울특별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소개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8-12 | 2070 |
59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업무 분담지원금 신청하세요!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7-04 | 2566 |
58 | 아빠육아휴직 안심 3종 패키지 3단계 : 아빠육아휴직_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편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6-12 | 2223 |
57 | 아빠육아휴직 안심 3종 패키지 2단계: 아빠육아휴직_이제부터 실전이다 편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2024-04-19 | 2202 |